[스크랩] - 삶의 지혜-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ㄱ>가까와 → 가까워 가정난 → 가정란 간 → 칸 강남콩 → 강낭콩 개수물 → 개숫물 객적다 → 객쩍다 거시키 → 거시기 갯펄 → 개펄 겸연적다→겸연쩍다 경귀 → 경구 고마와 → 고마워 곰곰히 → 곰곰이 괴로와 → 괴로워 구렛나루→구레나.. 공부 2011.11.08
[스크랩] [국보 1호 ~ 100호 까지] [국보 1호 ~ 100호 까지] 그림을 클릭하시면 문화재청 자료로... ☞ 1호 남대문 6호 중원 탑평리 칠층석탑 11호 미륵사지석탑 16호 안동 신세동 칠층 전탑 21호 불국사 삼층 석탑 26호 불국사 금동 비로자나 불좌상 31호 경주 첨성대 36호 상원사동종 41호 용두사지 철당간 46호 부석사조사당벽화 공부 2011.10.15
[스크랩] 오늘 아침 삶에 대한 외국의 석학님의 고찰입니다. 그 석학은 인도의 너무나도 유명한 타골의 스승 '까비르'입니다. 우주의 법칙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한데, '항상 새로운것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오늘 아침도 내일이 되면 어제 아침이 될 것이고, 오늘 아침에 보는 햇빛도 내일이 되면 내일의 햇빛이 .. 공부 2011.09.19
[스크랩] 추석의 유래와 풍속 2011년 9월 12일은 음력 8월 15일이므로 우리나라의 전통 명절인 '추석'입니다. 추석을 한가위라고도 합니다. 올해의 경우 추석은 월요일이 되어, 주5일근무제 기준 사일간의 연휴가 되는 셈이지요. 만약 화요일이 추석이었다면 오일간의 연휴가 될 수 있었는데 말입니다. 그것은 일반적인 직장인 기준이.. 공부 2011.09.12
[스크랩] 홍루몽 인문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토론과 통찰의 나눔이라고 합니다. 인문학을 통하여 우리가 살아가는 과정에서 지혜를 얻을 수 있고, 자아의 발전을 하게 되지요. 그 인문학을 습득하기위한 좋은 강좌중의 하나가 '휴넷 행복한 인문학당'인데, 휴넷에서 유료로 운용중입니다. 총백권의 도서를 추천하였고, .. 공부 2011.09.10
[스크랩] 고시조 집대성 [가] 올해 댜른 다리 (김 구) 가노라 삼각산(三角山)아 (김상헌) 이런들 엇더하며 (이방원) 가마귀 눈비 마자 (박팽년) 이 몸이 주거 가셔 (성삼문) 가마귀 싸호는 골에 (정몽주 어머니) 이 몸이 주거 주거 (정몽주) 가마귀 검다 하고 (이 직) 이시렴 브디 갈따 (성종) 간밤의 부던 바람에 (유응부) 이화(梨花).. 공부 2011.09.09
[스크랩]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유교경전 4서3경 중 대학에 나오는 말입니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한 사람만이 가정을 다스릴 수 있고, 가정을 다스릴 수 있는 자만이 나라를 다스릴 수 있으며, 나라를 다스릴 수 있는 자만이 천하를 평화롭게 다스릴수 있다." 이것이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해석내용입니다. 진리란 현실성으.. 공부 2011.09.02
[스크랩] 수의 단위(아주큰수와 아주작은수) 저는 가끔씩 엉뚱한 곳에 신경을 쓸 때가 있습니다. 지금 당장 필요하지도 않는 지식을 단순하게 흥미가 있다고 하여, 각종 자료를 통하여 모아도 보고, 혼자서 자화자찬합니다. 어떻게 보면 그야말로 할 일 없는 즉 영양가 없는 일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도, 이러한 행위가 갑자기 끊어 지지 않는.. 공부 2011.07.27
[스크랩] 四書,三經 四書,三經 사서(四書) ◆사서(四書):대학,중용,논어, 맹자를 합해서 사서라고 합니다. 송나라 때 정자라는 분이 자은(子恩)의 예기에서 대학,중용을 분리하여, 논어,맹자와 함께 엮어 내어서 사서로 만들었습니다. 그 전에는 오경(五經)이 읽혀졌으나, 어려워서 별로 호응을 못 받았습니다. 송나라 때부.. 공부 2011.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