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글 맞춤법에 관하여... 한글 맞춤법에 관해 ◇ '몇 일'과 '며칠'"오늘이 며칠이니?"라고 날짜를 물을 때 며칠이라고 써야 할지, 아니면 몇 일이라고 써야 하는지 몰라서 망설이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때의 바른 표기는 며칠입니다. 몇 일은 의문의 뜻을 지닌 몇 날을 의미하는 말로 몇 명, 몇 알, 몇 아이 등과 그 쓰.. 공부 2018.11.06
[스크랩] 학생의 날 메일 정보 숨기기 보낸사람 : 사랑의 편지 <master@loveletters.kr> 18.11.05 05:45 주소추가 수신차단 받는사람 : "자운영님" <asdfg3kr@hanmail.net> 주소추가 보낸날짜 : 2018년 11월 05일 월요일, 05시 45분 51초 +0900 답장받는 주소 : <master@loveletters.kr> 주소추가 보낸사람 : 사랑의 편지 <master@lo.. 공부 2018.11.05
[스크랩] 이십사절후표(二十四節候表) 이십사절후표(二十四節候表) 이십사절후표(二十四節候表) 계절 (季節) 절기명 (節氣名) 양력(陽曆) 음력 陰曆 기후(氣候)의 특징(特徵) 봄 春 &#63991;春(입춘) 2월 4&#65374;5일 1월 겨울의 절정에서 봄이 조금씩 움튼다 雨水(우수) 18&#65374;20일 얼음이 녹고, 초목이 싹트기 시작한다 驚.. 공부 2018.02.05
[스크랩] 부모님의 혈액형 - 자녀에게서 나올수 있는 혈액형 부모님의 혈액형 - 자녀에게서 나올수 있는 혈액형. 부모의 혈액형 자녀의 혈액형 비율(유전확률) A형 X A형 ------------------------------ A형, O형 A형 X B형 ------------------------------ A형, B형, AB형, O형 A형 X O형 ------------------------------ A형, O형 A형 X AB형 ----------------------------- A형, B형, AB형 B형 X B형 --.. 공부 2017.10.11
[스크랩] 나이에 따른 호칭및 생신명칭 회갑부터 칠순,팔순,생일잔치를 수연 이라고 하는데 모든 "수연"은 환갑때의 의식과 같이한다. 환갑은 61세 되는해의 생신이다. 환갑의 주(主)가 어느쪽이든 부부는 한 몸이라 헌수상을 같이 받는다. 이때는 산해진미(山海珍味)를 갖추어 환갑상을 마련한다.(요샌 동반 여행을 많이간다. .. 공부 2013.09.13
[스크랩] 본관별 족보 검색 본관별 족보 검색 본관의 성씨를 클릭! 본관 성씨 가리(加利) 이(李) 가주(嘉州) 한(韓) 가평(加平) 간(簡) 이(李) 김(金) 호(胡) 가흥(嘉興) 김(金) 조(曺) 간성(杆城) 최(崔) 이(李) 감물(甘勿) 김(金) 감천(甘泉) 전(全) 김(金) 문(文) 감천(甘川) 강남(江南) 수(水) 강동(江東) 이(李) 김(金) 강령(康.. 공부 2013.09.04
[스크랩] `마누라` 알고보니 조선양반이 썼던 아내의 극존칭형 '마누라' 알고보니 조선양반이 썼던 아내의 극존칭형 한글편지로 본 그 시절 부부 조선시대 양반집 아내도 남편에게 '자내'라고 불렀다 임금의 명을 받아 부임지로 떠나는 길목에서, 왜군과 싸우는 전장의 한복판에서 남편은 아내에게 붓을 들었다. 하인들은 안주인의 말을 잘 듣는지, 젖.. 공부 2012.05.25
[스크랩] 가훈 자료 108가지 How Deep Is Your Love - Bee Gees음악을 들으려면원본보기를 클릭해주세요. 가훈 자료 108가지 01 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가정이 화목하면 무엇이든지 잘되어 나간다 02 苦盡甘來 (고진감래) 고생끝에 낙이 온다는 말 03 公平無私 (공평무사)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 04 克己復禮 (극기복례) 욕망.. 공부 2012.05.15
[스크랩] 시 쓰는데 필요한 순 우리말들 Stand By Your Man - Tammy Wynette음악을 들으려면원본보기를 클릭해주세요. 시 쓰는데 필요한 순 우리말들 재미있고 유익한 순우리말 사전 ●●●● ●가납사니 : ①쓸데없는 말을 잘하는 사람. ②말다툼을 잘하는 사람. ●가년스럽다 : 몹시 궁상스러워 보이다. cf)가린스럽다 : 몹시 인색하다. .. 공부 2012.04.27
[스크랩] 추사 김정희의 수선화 ▲ 김정희, 수선화부 탁본과 부분, 조선 19세기, 23.5 x 60.8cm, 제주 추사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 ~1856)의 그림과 글씨는 후대에 사모하는 이가 많아 "완당탁묵 阮堂拓墨"이라는 이름으로 여러 탁본이 간행되었다. 그중에는<수선화부 水仙花賦>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수선화를.. 공부 2012.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