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슬부슬 내리는 비가 차창을 타고 흘러내린다.
밤 11시 이은자(55)씨가 운전하는
밤 11시 이은자(55)씨가 운전하는
4.5t 트럭이
영동고속도로 하행선 여주 부근을 달린다.
영동고속도로 하행선 여주 부근을 달린다.
이 씨는 몸이 아담해,
운전을 한다기보다 운전대에
매달려 가는 것 같다. 트럭이 차선을 바꾸자
운전석 뒤편에 매달린 링거 팩이 흔들거린다.
남편인 심 원섭(53)씨가 누워서
매달려 가는 것 같다. 트럭이 차선을 바꾸자
운전석 뒤편에 매달린 링거 팩이 흔들거린다.
남편인 심 원섭(53)씨가 누워서
복막 투석을 하고 있다.
시속 100㎞로 달리는 트럭 속에서 투석은
시속 100㎞로 달리는 트럭 속에서 투석은
30분 만에 끝났다.
10년 전부터 신장병을 앓고 있는
심 씨는 하루 네 번씩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심 씨는 하루 네 번씩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투석을 한다.
투석을 마치자마자 심 씨가 코를 골며 잠들었다.
휴게소 한쪽에 차를 주차시킨 뒤 남편이 운전석뒤편 남은 공간에 전기장판을 깔고 눕는다.
아내는 운전석에 나무합판을 깐 뒤 잠을 청한다.
뒤쪽 공간이 조금 더 따뜻하고 편하긴 하지만
한 사람이 누워도 몸을 뒤척일 수 없을 만큼 좁다.
“이렇게라도 함께 잘 수 있어 좋습니다.
꼭 신혼 단칸방 같지 않나요?”
남편 심 씨가 애써 웃는다.
새벽 4시, 캄캄한 어둠속에 트럭이 다시 출발했다.
새벽 6시 전에 톨게이트를 통과해야만
새벽 6시 전에 톨게이트를 통과해야만
통행료 50%를 할인받을 수 있다.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에서
구마 고속도로로 바뀐다.
구마 고속도로로 바뀐다.
심 씨 부부가 이틀 동안
10여 차례 고속도로를 바꿔 타며
돌아다닌 거리는 1200여㎞.
돌아다닌 거리는 1200여㎞.
한 달 수입은 기름 값,
통행료 제외하고 350만 원 정도다.
일감이 없는 날도 많다.
트럭 할부금으로 매달 180만원,
트럭 할부금으로 매달 180만원,
심 씨 약값으로 50만원이 들어간다.
정부에서 6개월마다 기름 값 보조금 명목으로
150만원이 나오지만
150만원이 나오지만
남은 돈으로 생활하기에는 빠듯하다.
“그래도 약값이라도 나오니 다행이지요.
남편 몸이 조금 나아져 같이 다닐 수 있는 게
행복이라면 행복이고요.”
가속 페달을 밟는 이 씨의 표정이 밝다.
가속 페달을 밟는 이 씨의 표정이 밝다.
부부는 구마고속도로 김해 진례 톨게이트를 빠져나와
길가에서 1시간 정도 쉰 다음 톨게이트
길가에서 1시간 정도 쉰 다음 톨게이트
화장실에서 세수를 했다.
김해공단에 이르자
남편이 다시 운전석에 앉았다.
짐을 부리고, 남해고속도로는 다시 아내 몫.
부산 녹산공단과 해운대에서 남편이
부산 녹산공단과 해운대에서 남편이
또 운전대를 잡았다.
옆자리로 옮겨 앉은 아내는 쉬지 못한다.
옆자리로 옮겨 앉은 아내는 쉬지 못한다.
몸 아픈
남편에게 말도 붙이고 팔도 주물러준다.
녹산공단과 해운대 등을 돌아다니며
포장지, 전선 보호막, 철근 등을 내려주고
다시 서울로 향한다.
서울로 올라가는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아침이 밝다.
“피곤해도 자동차 타고 여행 다니는 심정으로 일하지 뭐!
일 때문에 고생한다고 생각하면 더 힘들어지는 거 아냐?”
남편과 아내가 손을 꼭 쥐었다.
“피곤해도 자동차 타고 여행 다니는 심정으로 일하지 뭐!
일 때문에 고생한다고 생각하면 더 힘들어지는 거 아냐?”
남편과 아내가 손을 꼭 쥐었다.
“파이팅!”을 외치고 지나가기도 한다.
시민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 대한민국은 아직 뜨겁다.
지난 8일‘4.5t 트럭 안의 부부’기사가 보도된 이후,
“ 대단한 부부다”“작은 돈이지만 돕고 싶다”며
후원이 계속되고 있다.
사진은 이들 부부가 트럭에 실을 화물을
정리하는 모습. / 주완중 기자
영동고속도로 이천 톨게이트 주변에서 주유소를
경영하고 있는 양성열 사장은
“정말 아름다운 사랑에 감동을 받았습니다.
기름이라도 원가에 공급해 주겠다”는
약속을 조선일보에 전해왔고,
서울의 한 대학원생은
“그동안 용돈을 모아 놓은 것으로
도움을 줬으면 한다” 며 익명을 부탁했다.
그 밖에도 많은 시민들이
“정말 작은 돈이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을 줬으면 한다” 는
따뜻한 마음을 조선일보에 전해 왔다.
네티즌들의 관심은 그야말로 폭발적이었다.
네티즌들은 조선일보 인터넷 판과
다음, 네이버 등을 비롯한 포털사이트에
5,000여개의 댓글을 달며
이들 부부의 사랑에 관심을 보였다.
아이디 ‘nadohy’는
“정말 대단하신 부인이십니다.
글을 읽으며 많이 부끄러웠습니다.
아무리 어려운 환경이라도
부부의 마음 같으면
못해낼 일이 없을 것 같습니다”라는
글을 올렸고
‘kjh9925’는
“두 분 행복하세요. 건강하시고요.
다시 한 번 부부란 걸 일깨워주는군요” 라며
이들 부부의 행복을 빌었다.
‘kotoko’는
“저녁에 안사람과 싸워 아침에 말도 없이 나왔는데
이들 부부 앞에 부끄럽기만 합니다” 라는
반성의 글과 함께,
“신장이 안 좋으시면 라면은 드시지 마세요”
라는 걱정어린 글(cp21)도 올라 있었다.
심씨는
“주변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집사람이
고마운 사실을 더욱 절실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앞으론 정말 잘해주어야지요.
하루에 수십 통의 전화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관심을 가져주는 것은 좋지만
저희는 지금까지처럼 열심히 사랑하며 일하면서
살고 싶습니다” 라며
여러 사람들의 돕겠다는 제안에 손사래를 쳤다.
두 부부는 각 방송국과 잡지사 등
40여 군데로부터 ‘4.5톤 트럭 안의 부부’를 취재,
보도하겠다는 요청을 받고도
“조용히 살고 싶다”며
한군데도 응하지 않았다고 한다.
시민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 대한민국은 아직 뜨겁다.
지난 8일‘4.5t 트럭 안의 부부’기사가 보도된 이후,
“ 대단한 부부다”“작은 돈이지만 돕고 싶다”며
후원이 계속되고 있다.
사진은 이들 부부가 트럭에 실을 화물을
정리하는 모습. / 주완중 기자
영동고속도로 이천 톨게이트 주변에서 주유소를
경영하고 있는 양성열 사장은
“정말 아름다운 사랑에 감동을 받았습니다.
기름이라도 원가에 공급해 주겠다”는
약속을 조선일보에 전해왔고,
서울의 한 대학원생은
“그동안 용돈을 모아 놓은 것으로
도움을 줬으면 한다” 며 익명을 부탁했다.
그 밖에도 많은 시민들이
“정말 작은 돈이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을 줬으면 한다” 는
따뜻한 마음을 조선일보에 전해 왔다.
네티즌들의 관심은 그야말로 폭발적이었다.
네티즌들은 조선일보 인터넷 판과
다음, 네이버 등을 비롯한 포털사이트에
5,000여개의 댓글을 달며
이들 부부의 사랑에 관심을 보였다.
아이디 ‘nadohy’는
“정말 대단하신 부인이십니다.
글을 읽으며 많이 부끄러웠습니다.
아무리 어려운 환경이라도
부부의 마음 같으면
못해낼 일이 없을 것 같습니다”라는
글을 올렸고
‘kjh9925’는
“두 분 행복하세요. 건강하시고요.
다시 한 번 부부란 걸 일깨워주는군요” 라며
이들 부부의 행복을 빌었다.
‘kotoko’는
“저녁에 안사람과 싸워 아침에 말도 없이 나왔는데
이들 부부 앞에 부끄럽기만 합니다” 라는
반성의 글과 함께,
“신장이 안 좋으시면 라면은 드시지 마세요”
라는 걱정어린 글(cp21)도 올라 있었다.
심씨는
“주변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집사람이
고마운 사실을 더욱 절실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앞으론 정말 잘해주어야지요.
하루에 수십 통의 전화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관심을 가져주는 것은 좋지만
저희는 지금까지처럼 열심히 사랑하며 일하면서
살고 싶습니다” 라며
여러 사람들의 돕겠다는 제안에 손사래를 쳤다.
두 부부는 각 방송국과 잡지사 등
40여 군데로부터 ‘4.5톤 트럭 안의 부부’를 취재,
보도하겠다는 요청을 받고도
“조용히 살고 싶다”며
한군데도 응하지 않았다고 한다.
출처 : 바람에 띄운 그리움
글쓴이 : 하얀여울 원글보기
메모 :
'가슴 찡한이야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70여년만에 다시만난 아버지와 딸 (0) | 2019.02.08 |
---|---|
[스크랩] 아빠의 담배와 재떨이 (0) | 2018.10.25 |
[스크랩] 사형수와 딸 (0) | 2018.07.25 |
[스크랩] 아내를 두고 떠난 남편 (0) | 2018.07.23 |
[스크랩] 사망 18시간 전 결혼식 올린 신부 (0) | 2018.07.13 |